[부고]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황정용동지 운명
2009년 6월 4일 탈시설을 외치며 석암재단 산하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탈시설해 마로니에 공원에 노숙농성을 하며 탈시설 운동의 시작을 알린 황정용 활동가가 오늘(7월 13일) 새벽 돌아가셨습니다.
자유가 없는 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고자 없는 길을 만들었던 동지의 마지막 순간에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
■ 장례일정
- 빈소: 서울대병원장례식장 1층 7호실
- 입관: 2019년 7월 14일(일) 오전 11시
- 발인 : 2019년 7월 15일(월) 오전 8시
- 화장 : 2019년 7월 15일(월) 오전 10시 / 벽제승화원
■ 추모식
- 2019년 7월 14일(일) 오후 6시 / 서울대병원장례식장 1층 추모관
■ 조의금계좌
- 301-0109-3760-81 농협(예금주 :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 황정용 동지의 삶
- 1959년 11월 12일, 출생
- 2007년 1월 30일, 석암베데스다요양원 입소
- 2009년 6월 4일, 시설퇴소 후 탈시설자립생활정책을 요구하며 62일간 노숙농성
- 2017년 10월, 서울시 자립생활주택에서 공공임대주택으로 입주
- 석암재단생활인인권쟁취를위한비상대책위원회 활동
- 다큐멘터리 『시설장애인의 역습(2009, 박종필감독)』 출연
-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함께 설립
- 탈시설 당사자로서 탈시설 멘토로 활동하는 등 각종 현장에 활발히 참여
황정용 동지가 함께한 마로니에 8인의 투쟁은 탈시설권리가 구체적인 정책과 예산으로 구현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이 투쟁으로 서울시 탈시설 정책이 만들어졌으며, 이후 경기, 광주, 대구, 전주, 인천 등 지역별 탈시설 정책의 초석이 되었습니다.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3447&thread=03r01
![[부고]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황정용동지 운명](https://www.footact.org/uploads/cache/editor/2020/04/thumb-270435de915e21c1bab98f984a15f798_1587738538076860600_700x0.jpg)
2009년 6월 4일 탈시설을 외치며 석암재단 산하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탈시설해 마로니에 공원에 노숙농성을 하며 탈시설 운동의 시작을 알린 황정용 활동가가 오늘(7월 13일) 새벽 돌아가셨습니다.
자유가 없는 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고자 없는 길을 만들었던 동지의 마지막 순간에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
■ 장례일정
- 빈소: 서울대병원장례식장 1층 7호실
- 입관: 2019년 7월 14일(일) 오전 11시
- 발인 : 2019년 7월 15일(월) 오전 8시
- 화장 : 2019년 7월 15일(월) 오전 10시 / 벽제승화원
■ 추모식
- 2019년 7월 14일(일) 오후 6시 / 서울대병원장례식장 1층 추모관
■ 조의금계좌
- 301-0109-3760-81 농협(예금주 :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 황정용 동지의 삶
- 1959년 11월 12일, 출생
- 2007년 1월 30일, 석암베데스다요양원 입소
- 2009년 6월 4일, 시설퇴소 후 탈시설자립생활정책을 요구하며 62일간 노숙농성
- 2017년 10월, 서울시 자립생활주택에서 공공임대주택으로 입주
- 석암재단생활인인권쟁취를위한비상대책위원회 활동
- 다큐멘터리 『시설장애인의 역습(2009, 박종필감독)』 출연
-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함께 설립
- 탈시설 당사자로서 탈시설 멘토로 활동하는 등 각종 현장에 활발히 참여
황정용 동지가 함께한 마로니에 8인의 투쟁은 탈시설권리가 구체적인 정책과 예산으로 구현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이 투쟁으로 서울시 탈시설 정책이 만들어졌으며, 이후 경기, 광주, 대구, 전주, 인천 등 지역별 탈시설 정책의 초석이 되었습니다.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13447&thread=03r01
![[부고]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황정용동지 운명](https://www.footact.org/uploads/cache/editor/2020/04/thumb-270435de915e21c1bab98f984a15f798_1587738538076860600_700x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