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이야기]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고 지영동지를 기리며 - 탈시설자립생활 토론회 개최

  • 2013.04.18 22:28:58
  • https://www.footact.org/post/347
  • Print
안녕하세요?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임소연입니다. 

어제(2013년 4월 16일) 오전 우리는 탈시설자립생활 운동가 지영 동지를 떠나보냈습니다. 
시설에서 나와 탈시설자립생활운동을 하면서 
수많은 탈시설장애인의 지지자가 되어 주었던 지영 동지였습니다. 

칼칼하고 깡다구있고 당차고 그러면서 탈시설한 왕언니로 든든하게 자리를 지켜주었던 
그녀를 잊지 못할 것입니다. 

고 지영동지 남편 박정혁동지가 '그녀는 행복했었다'고 말하더군요. 
'몸은 힘들고 고달펐지만 시설에서 나와 산 이 10년이 참 행복했노라' 

이번 토론회를 고 지영 동지에게 바칩니다.  


토론회 자료집은 자료실에 올렸습니다. 자료실 클릭


[보 도 자 료]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3가 395-25 한얼빌딩 3층 전화 : 02)794-0395 / 전송: 02)6008-5812

발 신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탈시설정책위원회

수 신

각 언론사 사회부 기자

제 목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고 지영 동지를 기리며 - 탈시설자립생활 정책 수립 토론회 개최

일 자

2013년 4월 19()

담 당

임소연(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011-9077-0915)


1.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하며 평화, 인권, 평등의 인사를 드립니다. 

2. 우리 사회에서 탈시설화에 대한 요구는 크게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첫째, 2003년 이전에 시설 수용화에 따른 심각한 인권침해 상황에 대해 개별시설 차원에서 문제를 제기해 온 단계, 2003년 ‘미신고시설 양성화정책’ 이후 무분별한 시설 양성화와 대규모 시설화에 대한 문제 제기를 통해 정책 차원에서의 시설거주인 인권 확보 및 탈시설화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해 온 단계, 2009년 이후 ‘마로니에 8인’의 농성, 3인의 장애인에 의한 서비스 변경 신청에 관한 탈시설 소송의 제기, 탈시설 자립생활 전환체계 마련 요구해 온 단계로 발전해왔습니다. 

3. 서울시(2009), 부산시(2009), 광주시(2010), 대구시(2012), 인천시(2012)가 관내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 실태조사 및 욕구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결과 시설거주 장애인의 탈시설 욕구는 서울시 57%, 주거 및 서비스 지원 시 70.3% 자립희망, 광주시 41.3%, 주거 및 서비스 지원 시 42.2% 자립희망, 부산시 57.6% 자립희망, 대구시 58.6% 주거 지원 시 70.5%, 인천시 30.0%으로 약 50%이상이 자립생활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 2012년 전국적으로 실시한 시설거주인 자립욕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57.5% 자립희망, 주거 등 서비스를 제공할 시 62.1% 자립희망, 자립생활 어려움을 설명한 후도 53.4% 자립을 희망한다고 응답하였습니다. 또한 자립 시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집, 생활비, 일자리, 활동보조를 꼽아 앞선 지자체 조사에서 나타난 필요한 지원과 별반 다름없음이 드러났습니다. 

5. 하지만 지자체 현황은 지방자치단체의 의지, 지역 인프라, 장애인단체의 요구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립정착금은 7곳 광역시․도에서 시행 중이었고, 체험홈과 자립생활가정과 같은 초기 주거공간인 전환주거는 8곳 광역시․도에서 제공되고 있었습니다. 탈시설전환기관을 설립하여 장기계획을 수립하고 시설거주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곳은 서울특별시 단 한군데뿐이었고, 더욱이 중앙정부 지원은 전혀 없는 상황으로 자립정착금 지원도, 전환주거 제공도, 탈시설전환기관 설치도 없는 현실입니다. 

6. 이에 본 토론회에서는 지난 5년간 각 지자체에서 실시한 시설거주 장애인의 탈시설 욕구조사 결과와 지자체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2012년 실시한 전국 시설거주 장애인 자립 욕구 조사 결과를 공유하면서 탈시설 정책 수립을 위한 대안을 논의 하고자 합니다. 탈시설 자립생활과 관련한 정책 내용이 추상적 원칙, 선언적 정책을 열거하는 수준을 넘어, 중앙정부 차원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탈시설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본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7. 귀 언론사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토론회 개요> 

□ 일시 : 2013년 4월 19일(금) 오후 2시 
□ 장소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강당 
□ 공동주관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준),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탈시설정책위원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 공동주최 : 국회장애인복지포럼, 국회의원 김용익, 국회의원 최동익, 국회의원 박원석 


<토론회 순서> 

▪사회자 : 류은숙 (인권연구소 ‘창’ 상임활동가)
▪수화통역사 : 김정현, 이회숙

▪발표1 : 2012 전국 거주시설 장애인 자립욕구 조사 결과 및 정책대안 / 조한진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발표2 : 부산시 시설거주 장애인 자립 욕구 실태와 지원 현황, 과제 / 제청란 (부산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
▪발표3 : 인천시 시설거주 장애인 자립 욕구 실태와 지원 현황, 과제 / 박길연 (인천 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발표4 :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자의 자립을 위한 시설의 과제 / 허곤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정책조정위원장, 늘편한집 원장)
▪발표5 : 서울시장애인전환서비스지원센터 운영 성과와 과제 / 김은영 (서울시복지재단 공공협력부장)
▪발표6 : 장애인거주시설 기능개편 방안 마련 / 장수호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지원과)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