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성명]

[보도자료]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권리 보장! 1박2일 불끈 결심대회!

  • 2016.08.10 22:08:39
  • https://www.footact.org/post/564
  • Print
첨부파일

 



장애인활동보조 24시간 보장!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

장애인 탈시설 권리 실질적 보장!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권리 12일 불끈 결심대회

장애인권리 투쟁 풍악을 울려라~!”

 

일 시 : 2016811() 오후 2

장 소 : 서울시청 앞 (구 국가인권위원회 앞)

주 최 :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서울시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이하 서울시협의회)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서울장차연)과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은 811()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 장애인의 자립생활권리를 위한 12일 집회를 갖고, 2017년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예산수립과 정책을 요구하며, 서울시 수용시설 중심 정책 폐기와 함께 탈시설-자립생활을 위한 정책을 요구할 예정입니다.

 

서울시협의회와 서울장차연 및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은 지난 329일 서울시에 2017년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관련 예산안과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이후 단체의 정책안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설득하기 위해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 장애인정책과 등 관련 부서와 협의를 위해 노력하였으나, 결과는 협의 자체가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는 장애인활동보조 24시간이 비효율적이며 예산낭비라는 입장이며, 장애인복지정책과는 기존 장애인거주시설 중심의 개편정책을 탈시설정책으로 포장하기에 급급했기 때문입니다.

 

서울시 2016년 전체예산에서 복지본부 예산은 약 46000억원(16.74%)으로 전년 대비 3.73%가 증액되었습니다. 그러나 장애인과의 2016년 예산은 6,361억원으로 전년대비 70억이 삭감되어 1.10% 감액되었습니다. 심지어 장애인자립지원과는 181억원을 삭감함으로 전체 장애인과의 예산이 축소되었습니다. 또한 장애인복지정책과의 1,800억 예산 중 장애인거주시설 및 유사 거주시설 예산은 약 1,280억으로 복지정책과 예산의 71%를 차지하는 반면, 장애인 탈시설을 위한 전환지원예산은 20억으로 단 1%에 불과합니다.

 

이에 서울장차연 포함 3개 단체는 2017년 장애인 담당과의 예산이 2016년 해당과 예산을 근거로 2016년 서울시 복지본부 예산 증가율 3.23%2017년 예산 증가율을 고려하여, 서울시 전체 예산 중 장애인 담당과 예산이 5% 수준으로 인상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탈시설을 위한 실질적인 예산안 편성을 요구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정책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24시간 확대 및 정신장애인 대상 제공, 서울시 탈시설 권리 선언 선포 및 탈시설 정책 수립 및 시행, 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지원체계 보장을 위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확대

 

위와 같은 서울시 장애인 정책요구안과 함께 오는 811일 서울장차연, 서울시협의회,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은 대규모 집회를 열고, 박원순 서울시장과 장경환 복지본부장의 면담과 함께 서울시의 의미있는 답변을 촉구하며 농성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귀 언론사의 적극적인 취재와 보도를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붙임자료 1] 대회 순서 1.

[붙임자료 2] 2017년 서울시 장애인정책 및 예산 요구안 1.

 

[결심대회 순서]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권리 12일 불끈 결심대회

 

일 시 : 2016811() 오후 2

장 소 : 서울시청 앞

주 최 :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순 서 (사회.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판 소장)

투쟁축원발언 1

최용기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

투쟁축원발언 2

오상만 (마포가온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투쟁축원발언 3

조미경 (장애여성독립생활센터 숨 소장)

투쟁축원발언 4

김남연 (함께가는서울장애인부모회 회장)

공연

노래를 좋아하는 임정득

투쟁축원발언 5

신현석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사회복지지부 조직국장)

투쟁축원발언 6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

투쟁축원발언 7

조아라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

투쟁축원발언 8

박경석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

 

집회 후 일정

: 11일 오후 7, “한 여름밤의 탈주서울시 장애인권 살리기 문화제

: 12일 오전 930, “누구도 탈락되지 않는 지역사회의 삶을 위하여!” 서울시 탈시설-자립생활 권리 보장 촉구 기자회견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