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Asia-Pacific NGO Network Meeting for New Decade 교류대회
- 2011.08.31 18:28:43
- https://www.footact.org/post/517
2012 ADDF 컨퍼펀스 한국조직위원회
Asia and Pacific Disability Forum
[보 도 자 료]
‘새로운 10년(2013~2022)’의 전략적 이행을 위한
아태지역 장애엔지오 교류와 연대결성
- 9월1일~2일, 장애인권리협약 위원장과 아태지역 장애리더와의 교류회가져 -
○ 2012년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장애대회를 앞두고, 유엔에스갑(UNESCAP) ‘새로운 10년(2013~2022년)’의 전략적 이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아태지역의 장애엔지오(NGO) 교류회가 오는 9월 1일~2일, 하이서울유스호스텔에서 열린다.
○ 국제교류회에서는 첫 날 ‘제2차 아태장애인 10년 평가와 새로운 10년의 엔지오 역할’이라는 주제로 UN장애인권리협약위원회 김형식위원의 기조강연과 각 국에서 참여한 장애 리더들로부터 해당 국가의 경험과 이행 방안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열릴 예정이다.
○ 둘째 날에는 UN 장애인권리협약위원회 론 맥칼럼 위원장(호주 시드니대학 법학교수)으로부터 ‘국가의 장애인권리협약 비준과 실효적 이행방안’에 대한 기조강연을 듣고, 이어 참가자간 토론과 새로운 10년을 향한 아태지역 장애엔지오들의 의지를 담은 성명서를 발표하게 된다.
○ 이어 교류회를 마친 각 계 인사들은, 국회의원 박은수 의원실과 2012 APDF 컨퍼런스 한국 조직위원회(이하 APDF 조직위) 공동 주최로 국회에서 별도의 모임을 갖는다. 이 자리에서는 향후 한국 정부의 국제사회에서의 책임과 장애인권리협약 및 빈곤경감 등 아태지역 중요이슈와 해결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 현재 한국 정부는 지난 2008년 12월, 생명보험의 가입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협약 제25조 e항 유보와 선택의정서를 제외한 채, 유엔장애인권리협약만을 비준한 상태이다. 이번 교류회를 통해 APDF 조직위는 한국 정부의 장애인권리협약의 완전한 비준을 촉구하며, 특히 오는 2012년 10월 한국에서 열리는 유엔에스캅 고위급회의에서 ‘새로운 10년’의 핵심 장애정책 아젠다로 논의할 것을 주문할 예정이다.
○ 더불어 새로운 10년의 아태지역의 장애 관련 최대 이슈가 빈곤 퇴치임을 감안할 때 한국정부와 민간의 기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관련하여 한국정부와 공여국의 공적개발원조기구(ODA) 기금 등에 장애관점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촉구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 따라서, 이번 교류회는 아태지역 긴급현안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애엔지오의 공동 연대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해외 초청인사와 APDF 조직위 대표, 그리고 국회, 정부관계자 등 ‘다자간 모임’을 통해 한국정부와 엔지오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로, 2012년은 4년마다 열리는 ‘RI(세계재활협회) 세계대회’와 제2차 아태장애인 10년에 대한 최종평가와 '새로운 10년'을 선포하는 ‘유엔에스갑 정부간 고위급회의’, 이와 더불어 아태지역 민간차원에서 이를 주목하며 새로운 10년을 함께 준비할 ‘APDF(아태장애포럼) 총회 및 컨퍼런스’ 등이 인천 송도에서 동시에 열린다. 이 'APDF 컨퍼런스'를 위해 국내 42개 장애단체가 연합하여, ‘2012 APDF 컨퍼런스 한국조직위원회’를 결성, 공동으로 준비해오고 있다.
○ 한편, APDF 조직위는 오는 9월 30일, 남아시아 장애인계와의 교류 구축을 위해 파키스탄에서 열리는 “국제장애인리더쉽 컨퍼런스”에 참가단을 파견한다.
<붙임. 교류회 프로그램>
Asia-Pacific NGO Network Meeting for New Decade
아시아․태평양 지역 장애계의 연대를 위한 “소통과 나눔”
□ 대회개요
○ 제 목 : 새로운 10년을 향한 아태지역 장애엔지오 교류 및 연대
○ 목 적 : 아태 장애인 NGO의 연대를 통한 새로운 10년(2013~2022)의 실현
○ 일 시 : 2011. 9. 1. - 9. 2.(2일)
○ 장 소 : 하이서울유스호스텔(영등포)
○ 인 원 : 아태지역 주요 초청인사, 한국장애계 활동가 및 전문가 등 약100명
○ 주 최 : 2012 APDF 컨퍼런스 조직위원회, 국회의원 박은수
○ 주 관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 후 원 : 한국장애인재단
□ 주요 초청인사 소개
○ Ronald Clive McCallum(UN 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장, 시드니대학 로스쿨 교수)
○ Yuji Mori & Akira Terashima (JDF, 일본장애포럼)
○ Bimal Narayan (PDF, 태평양지역 장애포럼 사무국장, 피지)
○ Kong Lei (중국장애인연맹 협력부장)
○ Abia Akram (HI 국제코디네이터, 파키스탄)
○ 기타 아·태지역 10개국가 장애활동가 12명
네팔(Amrita Gyawali), 방글라데시(Nazma Ara Begum Popy) 베트남(Le Thi Nhat, Bach Quang Thai), 인도(Pali Ummul Kher), 인도네시아(Tanjung Kunto Nugroho), 중국(Liu Yi), 캄보디아(Sem Sokpanha), 파키스탄(Talal Vaheed, Mumtaz Ali), 필리핀(Janero-An Derecho), 스리랑카(Milmini Priyangika)
□ 프로그램(안)
구분 | 내용 | 장소 | |
9.1 (목) | 13:00 | - 대회 접수 등록 | 하이서울유스호스텔 다이아몬드실 |
오후 14:00 - 15:50 | ○ 환 영 사 : 이낙영 한국시각장애인여성연합회 회장 ○ 기조강연 : 김형식 교수(APDF 부회장/CRPD 위원) ○ 주제발표 Ⅰ “제2차 아태10년 평가와 새로운 10년의 NGO의 역할” -좌 장: 박경석 대표(APDF 조직위원회 상임대표) -발 표 ㆍBimal Narayan 태평양장애포럼(PDF) 사무국장(피지) ㆍAbia Akram, HI 코디네이터(파키스탄) - 토 론 3명 | ||
20분 | 휴식 | ||
15:10 - 18:00 | ○ 주제발표 Ⅱ - 좌 장 : 김미주, APDF 조직위원회 실행위원장 - 발 표 ㆍYuji Mori, 일본장애포럼(JDF) ㆍKong Lei, 중국장애인연맹 협력부장(중국) ㆍ이원교,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 - 한국 토론 3명 | ||
18:00 - 21:00 | ○ 저녁식사 | 1층 식당 | |
○ 문화 교류 프로그램 | 하이서울 휴스호스텔 다이아몬드실 | ||
9.2 (금) | 10:00 - 12:00 | ○ 인 사 말 : 박경석 상대표(APDF 조직위원회 상임대표) ○ 기조강연 : Ron Mccallum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장 1. 국가의 장애인권리협약 비준을 높이기 위한 NGO 역할 2. 민간보고서 작성 및 이후 심의과정에 민간 참여 3. 이행 및 모니터링 기구 & NGO의 역할 ○ 전체토론 : 김형식 교수(좌장) 초청자 4명, 한국 3명 ○ 질의응답 | |
12:00 - 13:00 | ○ 참가자 성명서 초안 공유 및 공동 발표 (새로운 10년을 향한 APDF의 역할과 전략개발 의지 표명 등) ○ 대푀 폐회 | ||
13:00 - 18:00 | ○ 오찬(박은수의원실 주최) - 국회의원 박은수 - 론 위원장 및 아태5개국 초청인사, APDF 공동대표 - 보건복지부, 외교부 및 언론관계자 등 | 국회 | |
저녁 | ○ 문화교류 | 서울시내 | |
9.3 (토) | ○ 기관방문 및 출국 |